
TCP/IP를 공부하던 중 TCP는 데이터 송수신의 순서를 보장한다는 글을 읽었다. 학교에서 네트워크 수업을 들을 때 분명히 패킷이 분할되고 재조립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했었다. 송신측에서 전달한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고, 패킷은 라우터를 거치며 수신측으로 보내지기 때문에 수신측에 패킷이 도착하는 순서가 보장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문득 들었다. 패킷이 수신측에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는데 TCP는 왜 순서를 보장하지? 라는 의문이 생겨서 관련 내용을 쭉 찾아봤는데, 추상적으로 설명해놓은 글이 많아 정리하려고 한다. TCP/IP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과정을 분류하는 모델로 OSI 7 계층이라는 표준이 존재한다. 우리가 HTTP 통신을 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을 OSI 7 계층에 맞추어 추상..
Network
2023. 5. 7. 17:1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스프링 프레임워크
- jpa
- 런칭 페스티벌
- ZNS SSD
- 네트워크
- Spring
- 알림개선기
- 5주차 회고
- 환경 별 로깅 전략 분리
- 3차 데모데이
- 스프링 Logback
- CI/CD
- 8주차 회고
- ZNS
- 팀프로젝트
- 백준
- 회고
- 파이썬
- 스프링MVC
- 2차 데모데이
- 우테코 회고
- 우테코
- dm-zoned
- 프로젝트
- 알림기능개선기
- dm-zoned 코드분석
- 스프링 부트
- 피움
- java
- 피움 6주차 회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