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존관계를 주입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가 있다. 1. 생성자 주입(Constructor) 2. 수정자 주입(Setter) 3. 필드 주입 4. 일반 메서드 주입 생성자 주입 생성자 주입은 말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 받는 방법이다. 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만 호출되는 것이 보장된다. 불변, 필수 의존관계에 사용한다. 앞에서 설명했던 OrderServiceImpl 클래스를 보면, 클래스 내부 멤버 변수들이 private final로 선언된 것을 볼 수 있다. final로 선언된 멤버 변수들은 반드시 생성자 주입을 통해 생성자 호출시점에 딱 1번 호출되어야 한다.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값을 절대로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최초에 생성되는 시점에 정의한다. 생성자가 1개 존재하는 경우에는 ..

본 게시글은 인프런 강의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강의자료'를 정리한 게시글입니다. 게시글 내용의 출처는 모두 해당 강의에 있습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핵심 기술 : 스프링 DI 컨테이너, AOP, 이벤트 웹 기술 : 스프링 MVC, 스프링 WebFlux 데이터 접근 기술 : 트랙잭션, JDBC, ORM지원, XML지원 기술 통합 : 캐시, 이메일, 원격접근, 스케줄링 테스트 : 스프링 기반 테스트 지원 언어 : 코트린, 그루비 최근에는 스프링 부트를 통해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술들을 편리하게 사용 스프링 부트 스프링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최근에는 기본적으로 사용한다 단독으로 실행할 수 있는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지원 Tomcat 같은 웹 서버를 내장해서 별도의 웹 서버를 설치..
- Total
- Today
- Yesterday
- jpa
- 파이썬
- 알림기능개선기
- 네트워크
- 스프링MVC
- java
- 스프링 Logback
- dm-zoned 코드분석
- 팀프로젝트
- 우테코 회고
- 프로젝트
- 환경 별 로깅 전략 분리
- 3차 데모데이
- 피움
- 스프링 프레임워크
- 스프링 부트
- 피움 6주차 회고
- 백준
- 런칭 페스티벌
- ZNS
- 2차 데모데이
- Spring
- CI/CD
- 알림개선기
- 8주차 회고
- 우테코
- 회고
- 5주차 회고
- ZNS SSD
- dm-zoned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